IT 78

[Java] StringBuffer vs. StringBuilder

Java 가 문자열을 처리할 때, String 외에도 StringBuffer 와 StringBuilder 클래스를 사용하는데 이들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1. 공통점- String 이 불변 클래스인 것에 반해, StringBuffer 와 StringBuilder 는 가변 클래스여서 한 번 생성된 객체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2. 차이점- StringBuffer 는 동기화된 메서드를 제공하여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안전하지만, 단일 스레드 환경에서는 느리다.- StringBuilder 는 동기화되지 않아 단일 스레드 환경에서 더 빠르다. 따라서, 경우에 맞춰 최적의 성능을 위한 클래스 선택이 달라진다.

IT/Java 2025.01.05

[Spring] Reflection

Reflection 개념에 대해 얕게 알고 자동으로 사용해 왔음을 알고 이참에 정리하고자 한다. 1. 정의- Java 에서 런타임 시 클래스, 메서드, 필드 등의 정보를 동적으로 탐색하고 조작할 수 있는 메커니즘 2. 사용 예시- 의존성 주입  > @Autowired 어노테이션이 붙은 필드가 메서드에 Reflection 을 사용해 적절한 빈을 주입- AOP (Aspect-Oriented Programming)  > Reflection 을 사용해 메서드 실행 전후에 추가 로직을 삽입하거나 메서드 호출을 가로챔- 커스텀 애너테이션 처리 3. 특징- 유연성 (런타임에 동적으로 객체를 다룰 수 있어 확장성 제공)- 코드 간소화- 성능 저하- 복잡성 증가 (코드가 동적으로 처리되기 때문) 4. 최적화- Proxy..

IT/Spring 2025.01.03

[Spring] Spring Batch 도입기

회사에서 주소 데이터를 카카오 API 를 호출하여 획득한 정보로 대용량 업데이트 해야 할 일이 생겼다.스케줄러를 활용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하는데, 이 때 Spring Batch 개념을 활용하기로 결정하였다.그래서 이를 도입할 때의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1. 도입 배경- 대용량 데이터 일괄 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커서 단순 API 호출로는 해결할 수 없어 대체 방안 필요  2. 환경 설정- build.gradle 에 의존성(dependency) 추가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batch' 3. Configuration 파일 추가 및 설정 3.1. BatchConfig.java  - ItemReader, ItemProces..

IT/Spring 2025.01.02

[CS] CRDT

CRDT(Conflict-free Replicated Data Type) 는 분산 시스템에서 데이터 복제를 처리하기 위한 구조다. 1. 주요 특징- 충돌 없는 병합 > 각 노드에서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수정한 후, 병합 시 충돌 없이 자동으로 일관된 상태 보장- 최종 일관성 > 네트워크 분리 또는 지연 상황에서도, 모든 노드는 결국 동일한 상태로 수렴- 병합 및 독립 수정 허용 > 여러 노드에서 병렬로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으며, 수정된 데이터는 병합 시 자동으로 조화 2. 종류 (데이터 병합 방식에 따라 나뉨)- 2.1. State-Based CRDT > 각 노드는 데이터의 전체 상태를 주기적으로 다른 노드와 동기화 > 병합 연산자는 결합 연산자를 사용하며, 연산의 순서와 상관없이 동일한 결과 ..

IT/CS 2024.12.11

[CS] .so 파일과 .a 파일 비교

.so 파일과 .a 파일에 대한 비교 글을 작성하고자 한다.결론적으로 .so 파일과 .a 파일은 모두 컴파일된 코드를 담고 있는 라이브러리 파일이지만, 사용하는 방식과 목적이 다르다. 1. .so 파일- 1.1. 정의  - 동적(공유) 라이브러리 파일- 1.2. 특징  - 실행 시간에 프로그램이 라이브러리 로딩  - 동일한 라이브러리를 여러 프로그램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메모리 사용량 줄임  - 변경된 라이브러리를 다시 컴파일하지 않고도 프로그램이 업데이트된 내용 사용 가능  - 배포 시 실행 환경에서 반드시 .so 파일 필요 2. .a 파일- 2.1. 정의  - 정적 라이브러리 파일- 2.2. 특징  - 프로그램이 빌드될 때 라이브러리의 모든 필요한 코드가 실행 파일에 포함되어 파일 크기 커짐  ..

IT/CS 2024.12.11

[CS] 사용자 패스워드 전송/보관 방법

사용자 패스워드를 전송 및 보관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1. 패스워드 전송- 사용자 패스워드를 전송할 때는 네트워크에서의 도청과 변조를 방지해야 한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TLS(Transport Layer Security), CSRF(Cross-Site Request Forgery) 토큰 사용 등이 있다. 2. 패스워드 저장- 서버에서 사용자 패스워드를 해싱하여 저장한다.- 이때 사용되는 해싱 알고리즘으로는 bcrypt, 솔트(salt) 추가 등이 있다.(여기서 솔트(salt)란, 암호학 및 보안에서 사용되는 무작위로 생성된 고유한 데이터로 패스워드를 해싱하기 전에 추가하는 값을 의미한다. 즉, 패스워드에 솔트를 추가한 후 해싱한다.) 3. 패스워드 검증-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입력한 패..

IT/CS 2024.12.11

[CS] Base64 인코딩

이번엔 Base64 인코딩에 대해 정리하려고 한다. 1. 정의- 64개의 ASCII 문자를 사용하여 바이너리 데이터를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하는 인코딩 방식(이 때, 64개는 A-Z(26자), a-z(26자), 0-9(10자), +,/(2자) 로 구성되어 있다.) 2. 작동 방식- 1) 데이터를 3바이트(24비트)씩 나눈다.- 2) 각 24비트를 6비트씩 분할하여 4개의 블록으로 나눈다.- 3) 각 6비트 블록을 64개의 ASCII 문자로 변환한다.여기서 원본 데이터의 길이가 3의 배수가 아니라면 남은 바이트의 수에 따라 '=' 패딩 문자를 추가한다. 3. 주요 특징- 데이터 크기 증가 (원본 데이터의 크기보다 33% 증가, 3바이트 입력이 4바이트 출력으로 변환되므로)- 가독성 (인코딩된 데이터는 읽기..

IT/CS 2024.12.11

[DesignPattern] SAGA 패턴

이번엔 SAGA 패턴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1. 개념- 분산 시스템에서 장기 실행 트랜잭션을 처리하며 데이터의 (최종)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설계 패턴- 하나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여러 단계의 트랜잭션으로 분할하고, 각 단계를 독립적으로 실행하도록 설계 2. 구현 방식- 조정 기반  > 중앙에서 조정자가 각 단계의 트랜잭션 실행 제어  > 중앙 컨트롤러가 명시적으로 다음 작업을 호출하거나 롤백  > 구현이 비교적 간단하지만, 조정자의 단일 장애점(SPOF)의 발생 가능- 중재 기반  > 각 서비스가 이벤트 기반으로 서로 통신하며 SAGA의 단계를 독립적으로 진행  > 한 단계가 완료되면 이벤트를 발행하여 다음 단계 트리거  > 분산 시스템 특성에 더 적합하지만, 설계 복잡 및 디버깅 어려움 3. 장..

IT/DesignPattern 2024.12.10

[DesignPattern] CQRS 패턴

흔히 이야기 되는 디자인 패턴, 그 중에서도 CQRS 패턴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그전에 디자인 패턴이 무엇인지에 대해 먼저 정리가 필요하다. 0. 디자인 패턴-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범 사례를 체계화 한 것-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고, 개발자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공통 언어를 제공한다.- 예시 > 생성 패턴: 객체 생성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 (ex. singleton, factory method) > 구조 패턴: 객체 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구조를 설계 (ex. adapter, decorator) > 행위 패턴: 객체 간의 책임 분담과 협력 방식을 정의 (ex. observer, strategy) 1. CQRS(Command ..

IT/DesignPattern 2024.12.10

[CS] System Call

System Call 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1. 정의- 사용자 모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커널 모드에서 실행되는 운영 체제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여기서 사용자 모드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를 의미하고 제한된 권한을 가진다. 한편 커널 모드는 운영 체제 실행 모드를 의미하고 시스템 자원에 대한 모든 권한을 가진다.) 2. 역할- 하드웨어 보호  > 애플리케이션이 직접 하드웨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 시스템 안정성을 보장한다.- 추상화 제공  > 운영 체제가 다양한 하드웨어를 추상화하여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자원으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자원 관리   > CPU, 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 등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보안  >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이 운영 체제의 ..

IT/CS 2024.12.09